군공청(軍功廳)
조선 중기 의병의 군공(軍功)을 조사하는 임무를 맡았던 임시관서. # 내용
1592년 임진왜란이 일어나 관군이 무너지자, 각처에서 의병이 일어나 군공을 세웠으므로 이것을 조사하기 위하여 설치하였다.
『군공청사목(軍功廳事目)』에 의하면, 하층신분인 공천·사천도 적 1급을 참수하면 면천(免賤 : 천인을 면제하여 줌), 2급을 참수하면 우림위(羽林衛), 3급을 참수하면 허통(許通 : 양반신분으로 오를 수 있는 자격이 됨), 4급을 참수하면 수문장(守門將)에 제수하게 되어 있어 하층신분에서 상층신분으로 올라갈 수 있는 기회가 주어졌 ...